본문 바로가기
내가 필요한 자료

2025 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문 자료 다운로드

by 파도의 윤슬 2025. 1. 19.
반응형

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문 

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분의 주요 내용

 

공고자료2025건설공사표준품셈원문.pdf
5.83MB

 

1. 목적

  • 건설공사의 적정한 예정가격 산정을 위한 기준 제공.
  • 정부, 지방자치단체, 공기업 등 공공기관에서 시행하는 공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함.

2. 적용범위

  • 국가, 지방자치단체,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에서 시행하는 건설공사.
  • 감독과 승인을 요하는 모든 공공기관의 건설공사에 적용.
  • 현장 여건, 기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조정 가능하며, 계약 당사자 간 협의로 세부 적용 가능.

3. 구성 및 특징

3.1. 적용기준

  • 표준품셈 제1장에서는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공종과 공법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현장 조건에 따라 조정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명시.
  • 예정가격 작성 시 부당하게 감액하거나 과잉 계산되지 않도록 규정.

3.2. 유지관리 부문 신설

  • 최근 개정(2023년 이후)에서는 유지관리 항목이 신설되어, 기존의 공통 부분과 분리하여 독립적인 항목으로 관리되도록 개편.

3.3. 품의 할증

  • 작업능률 저하나 특수한 현장 조건이 발생할 경우, "품의 할증" 기준을 통해 작업량을 조정할 수 있음.
  • 기계 사용시간 증가 시에도 할증 적용 가능.

 

4. 최신 개정사항

  • 2023년부터 2024년까지 지속적으로 개정되며, BIM 설계용역 대가 산정 기준 등이 추가됨.
  • 2024년 표준품셈은 모든 공종(공통, 토목, 건축, 기계설비 등)에 대해 최신 기술과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개편.

5. 활용 방법

  • 발주기관은 설계도서 및 계약 조건을 바탕으로 표준품셈을 활용하여 예정가격을 산출.
  • 현장 여건에 따라 조정 가능하며, 필요 시 품의 할증을 통해 작업량이나 비용을 보완.
  • 유지관리 항목은 별도로 관리하여 장기적인 시설물 유지비용까지 고려.

건설공사 표준품셈 공통부분은 모든 건설공사의 기본적인 대가 산정을 위한 핵심 자료로 활용됩니다. 특히 최근에는 유지관리와 BIM 설계 등 새로운 항목이 추가되어 현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. 발주기관과 시공사는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투명한 예산 관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반응형